본문 바로가기
.

정책정보

우리나라의 물사정

  • 담당부서수자원정책과
  • 담당자정원식
  • 전화번호02-****-8408
  • 등록일2012-08-09
  • 조회31474
  • 분류건설 > 수자원
우리나라의 연간 강수량은 세계 평균보다 크나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수자원 부존량은 매우 적음
  • 평균 강수량 : 1,277㎜(세계 평균 807㎜의 1.6배)
  • 1인당 강수량 : 2,629㎥/년(세계 평균 16,427㎥의 1/6에 불과)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

  • [자료]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2011)
수자원 부존량 및 이용현황 변화

(단위 : 억㎥/년)

수자원 부존량 및 이용현황 변화
구분 1965 1980 1990 1994 1998 2003 2007
수자원 총량 1,100 1,140 1,267 1,267 1,276 1,240 1,297
*총이용량 51.2
(100%)
153
(100%)
249
(100%)
301
(100%)
331
(100%)
337
(100%)
333
(100%)
-생활용수 2.3(4%) 19(12%) 42(17%) 62(21%) 73(22%) 76(23%) 75(23%)
-공업용수 4.1(8%) 7(5%) 24(10%) 26(8%) 29(9%) 26(8%) 21(6%)
-농업용수 44.8(88%) 102(67%) 147(59%) 149(50%) 158(48%) 160(47%) 159(48%)
-유지용수 - 25(16%) 36(14%) 64(21%) 64(21%) 71(21%) 78(23%)
  • ※ 수자원총량은 소폭 증가하는 가운데, 댐 건설 등 이수시설의 확충으로 총 이용량은 40여년간 6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인구증가로 생활용수의 이용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농업용수를 제외한 그 외 용도의 수자원 이용량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국 용수수급 전망

(단위 : 백만㎥/년)

전국 용수수급 전망
구 분 전 국 한 강 낙동강 금 강 영산강 섬진강 제주·울릉
○ 수요량 26,390 7,895 7,335 6,347 2,577 1,883 354
- 생활용수 7,786 4,090 1,850 1,187 342 187 130
- 공업용수 3,205 807 1,123 737 124 394 20
- 농업용수 15,399 2,998 4,362 4,423 2,111 1,302 204
○ 공급가능량 25,956 7,858 7,249 6,293 2,425 1,778 354
○ 과부족량 ▽ 434 ▽ 37 ▽ 86 ▽ 54 ▽ 152 ▽ 105 -

※ 2020년 기준 과거 최대 가뭄 발생시 권역별 물 수급 전망임

[자료]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2011)

우리나라 10대 하천

(단위: ㎢, ㎞, 억㎥, ㎜)

하 천 명 유역면적(㎢) 유로연장(㎞) 연평균유출량(억㎥) 연평균강수량(㎜)
한 강 25,954 494 174 1,260
낙동강 23,384 510 158 1,203
금 강 9,912 398 78 1,271
섬진강 4,912 224 44 1,457
영산강 3,468 137 30 1,340
안성천 1,656 60 12 1,215
삽교천 1,649 59 12 1,227
만경강 1,504 81 12 1,282
형산강 1,140 63 7 1,157
동진강 1,129 51 8 1,242
  • ※ 북한을 제외한 우리나라에서 유역면적과 연평균유출량을 기준으로 보면 한강이, 유로연장을 기준으로 보면 낙동강의 규모가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0대 하천중 유역내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곳은 섬진강이다.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 (하천유량변동 계수 비교)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
하천명(지점) 유량변동계수 하천명(국명) 유량변동계수
한강(한강대교) 90 (390) 도네강(일본) 115
낙동강(진동) 260 (372) 세느강(프랑스) 34
금강(공주) 190 (300) 라인강(독일) 18
섬진강(송정) 270 (390) 나일강(이집트) 30
영산강(나주) 130 (320) 미시시피강(미국) 3

주) 유량변동계수의 ( )는 다목적댐 건설 전
※ 하천 유량변동계수는 해당하천의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로 표시됨

  • 우리나라 하천은 외국의 주요 하천에 비해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격차가 매우 커 연중 강수량의 변동이 심한 기상조건을 반영하고 있고 하천의 물 이용 여건이 유럽이나 다른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함을 단적으로 말해 준다.
  • 또한 우리나라 하천유역에는 산지가 많아 홍수기에는 홍수 직후 1~3일 이내에 상류의 물이 하구에 도달하므로, 이수측면에서 보면 강수 특성상 홍수기에 집중되는 강우를 모아 갈수기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의 변화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의 변화

  • ※ 우리나라의 과거 100년간 연강수량 추이를 보면 최저 754㎜(1939년)와 최고치 1,756㎜(2003년) 2.3배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강수량은 1,277㎜로, 과거 약 100년에 걸친 추세를 보면 연간 강수량은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60년대 이후 가뭄과 홍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90년대에는 대홍수와 극심한 가뭄이 빈발하고 있어, 기존 수자원 시설물에 의한 용수 공급과 홍수 방어능력을 취약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료]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2011)
전국 용수수급 전망
  • 우리나라는 계절별, 연도별, 지역별 강수량의 편차가 심한 동시에,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이고, 하천경사가 급한 지리적 특성으로 홍수가 일시에 유출되며, 갈수기에는 유출량이 적어 하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 등 수자원의 이용면에서 불리한 자연조건을 안고 있다. 또한 연례행사처럼 홍수와 가뭄이 반복되고 있어 근본적인 치수대책 마련과 함께, 국민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다변화된 용수수요에 걸맞는 합리적인 수자원 이용방안이 요구된다.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