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및 목적
속초 설악동은 국제휴양관광 명소인 설악산의 관문으로 연간 30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국내 대표관광지이나 시설노후와 황폐, 체류․휴게 여건 미비로 공동화 현상이 심각해 시급한 정비․개발이 요구됨
국내외 인지도와 방문율이 높은 대표관광지인 설악동에 대한 재정지원을 통한 국민여가 선용은 물론 인바운드 관광객 대상의 국가이미지 제고와 함께 낙후지역의 개발촉진으로 국토균형발전 필요
국토부에서 추진하는「국토종합계획」및「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의 거점 사업으로 설악동을 개발하면 국토균형발전 효과 극대화가 가능
설악동은 전 정부의 대선공약사항인「설악권 복합관광 중심지대 육성사업」의 핵심지역으로 중부권 발전의 중추역할 수행 가능
시행주관
속초시
사업위치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제2집단시설지구(B·C·D지구 일원)
사업기간
2019년 ~ 2023년 (5년간)
사업규모
총 사업비 : 264억원 (국비 132억원 / 지방비 132억원)
사업 면적 : 약391,000㎡
기반시설(도로, 주차장 등) 확충 및 편의시설 조성 1식
- 기반시설 : 실시설계, 가로환경(도로, 가로등, 광고물, 교통시설) 정비, 공영주차장 확충, 다목적 특화광장 및 복합문화관람시설 조성, IT특화거리 및 트릭아트거리 조성
- 편의시설 : 테마쌈지공원(5개소) 조성
추진경과 및 향후계획
국토교통부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결정 고시 및 반영 : ‘10. 12. 30.
개발구역이 국립공원구역에서 해제(4.83㎢) : ‘11. 1. 10.
국토교통부 ‘설악단오문화권 특정지역개발’ 승인․고시 : ‘11. 7. 27.
개발사업 실시계획 및 기본설계용역 완료 : ‘12. 1월 ~ ‘13. 6월
속초시 도시기본․관리계획 수립 결정고시(상업지역 등) : ‘13. 4. 26.
개발사업 환경․재해․문화재․교통평가․투융자심사 등 행정절차 완료 : ’14. 3월
‘설악단오문화권’ 특정지역 실시계획 및 지구단위계획 승인 : ‘14. 5. 2
‘17년『설악 힐링휴양지구 조성사업』국비확보 관련 추진 : ‘16. 4~8월
‘17년 국토부 예산심의 통과, 국회 예산심의에서 미반영 : ’16. 12월
강원도 관계자 국토부 방문 : ‘17. 3월
‘18년 국토부 예산심의 통과, 국회 예산심의에서 미반영 : ‘17. 12월
기획재정부 방문 등 강원도와 공조하여 국비 확보 노력
국토교통부 핵심사업과 문화체육관광부 기금사업 등으로 투트랩 전략 추진 검토
지구내 민간개발사업 동향 파악 및 우리시 개발방안 설명 등 적극대처
레지던스 호텔 등 숙박위주의 민간투자 유치를 지양하고 실질적인 설악동
경기부양을 위한 테마형 민간투자유치 적극 노력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 합 계 | 2018년까지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이후 | 비 고 |
---|---|---|---|---|---|---|---|
합 계 | 26,400 | 0 | 1,400 | 3,200 | 6,000 | 15,800 | |
국 비 | 13,200 | 0 | 700 | 1,600 | 3,000 | 7,900 | |
지방비 | 13,200 | 0 | 700 | 1,600 | 3,000 | 7,9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