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운영안내 |
|
2010년 1월부터 운영이 개시되는 중부권(충북 청원ㆍ충남 연기) 및 영남권(경북 칠곡) 내륙물류기지의 시설 현황, 기대효과 및 이용방법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Q1 |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
|
중부권 내륙물류기지는 충북 청원군 부용면 및 충남 연기군 동면 일원에 48만㎡규모로 2003년부터 2009년에 걸쳐 조성되었습니다.
2개도 및 군에 걸쳐 조성된 이유는 대전, 충청남ㆍ북도 등 중부지역을 물동량 처리가 유리하다는 지리적 이점과 아울러 지방자치단체간 협조ㆍ화합의 의미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기 때문입니다.
주요시설은 화물취급장 4동, 배송센터 4동, CY(Container Yard) 6만㎡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일반화물 236만톤, 컨테이너 35만TEU(Twenty-foot Equivalent Unit, 20피트 컨테이너 1개에 해당하는 단위)를 취급할 수 있습니다.
이 시설물 중 공사과정에서 문화재가 발굴되어 문화재 추가발굴여부 등을 조사하기위해 공사가 지연된 배송센터 2개동을 제외한 나머지시설물은 2009년 12월 공사가 완료되어 2010년 1월부터는 영업을 시작합니다.
배송센터 2개동을 포함한 전 시설물에 대한 영업은 2010년 6월부터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부권 내륙물류기지에는 화물취급장, 배송센터, CY 이 외에도 진입도로(0.5km)와 인입철도(2.9km)를 설치하여, 경부고속도로, 일반도로 및 경부선 철도를 통하여 인접 중부권지역은 물론 수도권이나 부산권, 호남권으로의 운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중부권 내륙물류기지의 위치 및 조감도
영남권 내륙물류기지는 경북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 일원에 46만㎡규모로 2004년부터 2009년에 걸쳐 조성되었습니다.
주요시설은 화물취급장 7동, 배송센터 3동, CY(Container Yard) 9만㎡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일반화물 357만톤, 컨테이너 33만TEU를 취급할 수 있습니다.
이 시설물 중 공사과정에서 문화재가 발굴되어 문화재 추가발굴여부 등을 조사하기위해 공사가 지연된 배송센터 2개동을 제외한 나머지시설물은 2009년 12월 공사가 완료되어 2010년 1월부터는 영업을 시작합니다.
배송센터 2개동을 포함한 전 시설물에 대한 영업은 2010년 6월부터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남권 내륙물류기지에는 화물취급장, 배송센터, CY 이 외에도 진입도로(3km)와 인입철도(5.1km)를 설치하여, 경부고속도로, 국도 및 경부선 철도 등을 통하여 인접 대구ㆍ경상남ㆍ북도 등 영남권지역은 물론 수도권이나 부산권, 호남권으로의 운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영남권 내륙물류기지의 위치 및 조감도
|
Q2 |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가 건설되면 어떤 점이 좋아지나요? |
|
국가경제활동이 증가하면 화물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를 유발하여 기존의 개별기업 차원의 재래식 창고 도는 소규모 물류터미널로써는 늘어나는 물류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게 되고, 물류시설의 부족은 운송, 보관, 포장 등 각 물류단계에서 독립, 단절된 업무체계를 형성하여 물류비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물류체계의 전반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전국 5개 거점(수도권, 부산권, 호남권, 중부권, 영남권)에 내륙물류기지 건설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그간 수도권, 부산권, 호남권에는 내륙물류기지가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나, 2010년 1월부터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가 운영을 시작함에 따라 전국 5대권역에 모두 내륙물류기지를 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수도권 지역에는 군포 복합물류터미널과 의왕 ICD가 운영되고 있으나 늘어나는 물동량을 감당할 수 없어 수도권북부(파주)와 남부(평택)에 별도의 내륙물류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는 물류구조 개선과 물류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물류비 절감 및 경제발전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권역간 간선수송을 대형화함으로써 차량운행 빈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터미널에 인입(引入)되어 있는 철도운송체계를 이용함으로써 화물차량을 이용한 도로운송 비중을 낮추어 이산화탄소 배출과 같은 대기오염 및 사회간접비용(도로파손, 교통정체)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특히 내륙물류기지 내에 환경생태공원 등을 설치하고, 농구장, 족구장, 배드민턴장 등의 운동시설과 등의자, 자연석 계단 등의 쉼터공간을 제공, 근무자 및 주민들이 여가선용과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등 친환경, 주민친화적인 설비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
Q3 |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를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는 민간투자사업으로 시행되었으며, 철도, 도로 등 기반시설은 국가가, 물류터미널 및 CY 등은 사업시행자가 건설하였으며, 운영 또한 사업시행자가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중부권 내륙물류기지는 중부복합물류(주)가 사업시행자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 군포영업소 : |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 451번지 한국복합물류 관리동,
☎ 031-460-7070(대표전화), Fax 031-460-2031 |
|
* 본 사 : |
충북 청원군 부강면 갈산리 (개소 예정) |
|
영남권 내륙물류기지는 (주)영남복합물류공사가 사업시행자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서울사무소 : |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 546-4 프라임빌딩18층,
☎ 02-3424-1800, Fax 02-3424-1801 |
|
* 본 사 : |
경북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 700,
☎ 054-972-9043, Fax 054-972-9067 |
|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의 운영을 조기에 활성화하기 위해 사업시행자는 이용대상고객 방문, 사업설명회 개최, 안내자료 배포 등 고객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부권 및 영남권 내륙물류기지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이나 이용문의를 하시고자 하시면 위 연락처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 |
내륙물류기지는 복합물류터미널(IFT, Integrated Freight Terminal)과 내륙컨테이너기지(ICD, Inland Container Depot)가 함께 있는 대규모 거점물류시설 |
|
◎ |
복합물류터미널은 화물의 집하ㆍ하역ㆍ분류ㆍ포장ㆍ보관 또는 통관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시설물(「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제2조제2호)이며, 도로, 철도 등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간의 연계수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
일반물류터미널과 비교하면 통상 철도운송연계가 가능하도록 철도화물취급장이 있고, 전산정보체계, 화물자동분류설비 등을 갖추고 있는 점이 다르며, 연계수송 외에도 화물의 집하 및 배송, 보관 및 재고관리, 납품대행, 화물운송주선 및 수출입화물의 내륙통관 등의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 |
|
◎ |
내륙컨테이너기지는 항만을 떠나 내륙으로 이동되거나 내륙에서 항만으로 이동되는 컨테이너화물을 취급하기 위해 내륙운송수단(철도, 도로)이 연계되는 장소에 조성한 것으로, 해상컨테이너운송이 확대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가
내륙컨테이너기지에는 대리점, 포워더(국제운송주선사업자), 하역회사, 관세사, 화물운송회사, 포장회사 등이 입주하고 있으며, 항만내에서 이루어져야할 선적, 양하, 선적대기기능을 제외한 장치보관기능, 집화분류기능, 통관기능 등 내륙항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