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도시권 광역교통 통행량 현황

2019년 대비 2020년 광역교통 통행량 비교

2020년 대도시권의 광역교통 통행량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19년 대비 12.1% 감소하였고, 특히 대중교통 이용이 26.8%로 대폭 감소함
* 20년 대도시권 광역교통조사는 21.7.∼22.5월까지 시행, 21년 대도시권 광역교통조사는 올해 6월 착수예정

  • 전체 통행량 전체요일 12.1% 감소(2019년 - 803만, 2020년 - 705.6만), 평일 10.7%감소(2019년 - 791만, 2020년 - 706.3만), 휴일 15.1%감소(2019년 - 829만, 2020년 - 704.2만)
  • 대중교통 이용 통행량 전체요일 26.8% 감소(2019년 - 312만, 2020년 - 228만), 평일 23.9%감소(2019년 - 344만, 2020년 - 262만), 휴일 36.4%감소(2019년 - 241만, 2020년 - 153만)

* 전체 통행량 : 2020년 전체요일(365일)에 대한 하루 평균 통행량 705.6만명, 평일(251일) 하루 평균 통행량 706.3만명, 휴일(115일) 하루 평균 통행량 704.2만명

  • 2020년 전체 광역 통행량은 수도권에서 가장 큰 폭으로 13.2% 감소하였고, 다음으로 대구권이 10.6% 감소하였으며, 가장 적게 감소한 지역은 광주권(5.4%)으로 나타남
  • 권역별 대중교통 통행량을 보면 코로나-19 확산 초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던 대구권이 43.5%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수도권 26.3%, 부산ㆍ울산권 29.6%, 광주권 34.6%, 대전권 31.5%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전체 통행 수도권(2019년 - 604.7만, 2020년 - 524.8만), 부산·울산권(2019년 - 84.28만, 2020년 - 76.16만), 대구권(2019년 - 51.85만, 2020년 - 46.38만), 광주권(2019년 - 23.17만, 2020년 - 21.93만), 대전권(2019년 - 39.14만, 2020년 - 36.35만)
  • 대중교통 이용 통행 수도권(2019년 - 289.3만, 2020년 - 213.2만), 부산·울산권(2019년 - 11.33만, 2020년 - 7.98만), 대구권(2019년 - 5.31만, 2020년 - 3만), 광주권(2019년 - 0.55만, 2020년 - 0.36만), 대전권(2019년 - 4.44만, 2020년 - 3.04만)

통행목적별 광역 통행량 변화를 살펴보면 관광지로의 통행이 가장 크게 감소(21%)하였고 재택근무와 화상회의 등의 영향으로 근무지역(11.6%), 상업지역(18.9%)으로의 통행 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됨

통행목적별 광역 통행량(수도권) 정보목록으로 2019년, 2020년, 전년대비(%)별 입지유형(근무지역, 상업지역, 관광지, 레저/스포츠시설, 대형아울렛, 주거지역/기타)에 따른 정보가 확인됩니다.
구분 입지유형
근무지역 상업지역 관광지 레저/스포츠시설 대형아울렛 주거지역/기타
2019년 491.2 262.1 452 353 283 333.1
2020년 434.3 212.5 357 313 276 316.4
전년대비(%) 88.4% 81.1% 79.0% 88.7% 97.5% 95.0%

2020년 광역교통 출퇴근 평균 통행시간은 전국 출근 59분, 퇴근 64분, 대도시권 출근 57분, 퇴근 62분으로 나타났으며, 대도시권별로 수도권은 출근 59분, 퇴근 65분, 대구권 및 대전권은 출근 46분, 퇴근 51분 등으로 나타남

대도시권 광역교통 권역별 출퇴근 통행시간(광역통해) - 전국 : 111분(출근-52분/퇴근59분), 대도시권 : 95분(출근-45분/퇴근50분), 수도권 : 95분(출근-45분/퇴근50분), 부산·울산권 : 89분(출근-42분/퇴근47분), 대구권 : 122분(출근-58분/퇴근64분), 광주권 : 117분(출근-56분/퇴근61분), 대전권 : 122분(출근-58분/퇴근64분)

관련문서

대도시권 광역교통 통행량 현황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