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항행안전시설이란?
- 유선통신ㆍ무선통신ㆍ불빛ㆍ색채 또는 형상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로서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항공법 제2조) 쉽게 말해 항행안전시설이란 악기상 상태에서도 항공기가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시설로, 조종사와 관제사는 항공기가 공항을 이륙하여 착륙하는 모든 과정에서 항행안전시설을 이용한다. 항행안전시설은 아래와 같이 크게 3종류로 분류된다.

- 항행안전무선시설

- 전파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

- 항공등화

- 불빛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

- 항공정보통신시설

- 전기통신에 의하여 항공교통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ㆍ교환하기 위한 시설

- 항행안전무선시설 설치현황(6종 36식)
(2025.9.)
|
시설 공항 |
감시시설 | 착륙 유도시설 | 공항접근 및 비정밀 착륙유도시설 | 합계 | ||||
|---|---|---|---|---|---|---|---|---|
| 레이더 | 지상감시 레이더 (ASDE) |
자동종속 감시시설 (ADS-B) |
다변측정 감시시설 (MLAT) |
계기착륙시설 (ILS/DME) |
전방향표지시설 (VOR/DME) |
|||
| ASR/SSR | ARTS | |||||||
| 인천 | 3 | 2 | 2 | 1 | 1 | 8 | 2 | 19 |
| 김포 | 2 | - | 1 | - | 1 | 4 | 1 | 9 |
| 양양 | - | - | - | - | 1 | 1 | 1 | 3 |
| 청주 | - | - | - | - | - | 2 | 1 | 3 |
| 원주 | - | - | - | - | - | - | 1 | 1 |
| 군산 | - | - | - | - | - | - | - | 0 |
| 태안 비행장 |
- | - | - | - | - | - | - | 0 |
| 비상용 센터 |
- | 1 | - | - | - | - | - | 1 |
| 계 | 5 | 3 | 3 | 1 | 3 | 15 | 6 | 36 |

-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종류

- 계기착륙시설(ILS : Instrument Landing System)

기능:항공기의 정밀착률을 안내하기 위한 수평/수직 유도 및 거리 정보를 제공 설치장소 및 용도, -유도정보:LLZ,GP -거리정보:Marker Beacon, DME -시각정보:접근등화,접지등화,활주로등화,활주로중심선 등 아래에 LLZ, GP, MARKER, DME 이미지

-
레이더시설(RADAR : Radio Detecting and Ranging)
- 비행중인 항공기를 탐지하여 관제사가 화면을 보고 항공기를 안전하게 관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 방위각제공시설(LLZ : Localizer)

기능:활주로 중심선에 대한 코스유도 정보(수평정보)제공 LLZ신호 정보:90(좌)/150(우)Hz, 이미지에 back course, 활주로 중심선 표시

- 활공각제공시설(GP : Glide Path)

기능:활주로에 대한 항공기의 코스유도 정보(수직정보)제공, gp신호정보:90(상)/150(하)Hz

- 마커비콘(Marker Beacon)

기능:저 시청 상태에서 접근 활주로가 임박했음으르 지시, 구성시설:외측마커(OM), 중간마커(MM), 내측마커(IM), > MM,OM대신에 DME로 운영 가능

-
전방향표지시설(VOR : VHF Omni-directional Radio Range)
항행중인 항공기에 방위각도 정보(1 ~ 360도)를 제공하는 시설로서 항공로의 구성, 공항접근 및 이ㆍ착륙시에 이용

-
거리측정시설(DME :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항행중인 항공기에 시설 설치지점에서 항공기까지의 거리정보를 숫자로 제공하여 항로비행 및 이ㆍ착륙시에 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