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공지사항

제792호 건설신기술 지정 고시(1993)

고시 제2016-375호

 

고     시(안)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 - 375호


    “고주파아크 금속 용사기와 가변형 금속 용사건을 이용한 강구조물의 금속용사 방식 공법(HMS 공법)”을 신기술로 지정하였기에 건설기술 진흥법시행령 제33조 제1항의 규정에 의거 아래와 같이 고시합니다.

2016년  6월27일

국 토 교 통 부 장 관

1. 신기술개발자

 

신청인

법인명(성명)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대표자 이기형)

주    소

(우)1558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전화번호

031-400-5181

팩스번호

031-436-8169

신청인

법인명(성명)

㈜포스코건설 (대표자 황태현)

주    소

(우)37863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로 180

전화번호

032-200-2243

팩스번호

032-200-2254

신청인

법인명(성명)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자 김지덕)

주    소

(우)14072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227번길 48

전화번호

031-381-2182

팩스번호

031-381-2184

 


2. 신기술의 개요


 ㅇ 지정번호:제 792 호


 ㅇ 명    칭:고주파아크 금속 용사기와 가변형 금속 용사건을 이용한 강구조물의 금속용사 방식 공법(HMS 공법)


 ㅇ 기술분야 : 건축 / 철골 / 철골 내화 피복뿜칠, 방식


 ㅇ 내용요약

    이 신기술은 희생양극 원리를 갖는 2개의 금속선재를 고주파아크 금속 용사기로 아크(Arc)열을 발생시켜 금속의 불완전 용융을 줄이고 용융입자를 미세화시킴과 동시에, 용융된 금속에 압축공기를 중앙 및 측면에서 분사하여 강재표면에 타원형 용사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변형 용사건을 병용 사용하는 강구조물(지중 및 수중 강구조물 제외)의 금속용사 방식 공법이다.(HMS 공법 : High Frequency Metal Spray)


ㅇ 신기술의 범위

    고주파아크 금속 용사기와 타원형 용사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변형 금속 용사건을 이용한 강구조물(지중 및 수중 강구조물 제외)의 금속용사 방식 공법


3. 신기술개발자에 대한 보호내용


 가. 보호기간 : 고시일부터 5년


 나. 보호내용 : 건설기술 진흥법령 참조


  ㅇ 기술개발자는 신기술을 사용한 자에게 기술사용료를 받을 수 있음


  ㅇ 발주청에게 신기술과 관련된 신기술장비 등의 성능시험, 시공방법 등의 시험시공을 권고할 수 있음


  ㅇ 신기술의 성능시험 및 시험시공의 결과가 우수한 경우 발주청이 시행하는 건설공사에 신기술을 우선 적용하게 할 수 있음


4. 신기술품셈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고주파아크 금속용사 → 봉공처리제 도포

신기술 품셈

 

 1. 고주파아크 금속용사

(㎡당)

 

구 분

규 격

단 위

수량(두께)

100㎚

150㎚

200㎚

인력

도장공

 

0.002

0.003

0.004

보통인부

 

0.001

0.002

0.002

장비

발전기

100kW

hr

0.2

0.3

0.4

공기압축기

3.5㎥/min

hr

0.2

0.3

0.4

용사기

H-500

hr

0.2

0.3

0.4

 

[주] ① 본 품은 고주파아크 금속 용사기에 의한 뿜칠 시공(벽+천정)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③ 고주파아크 금속 용사기의 기계경비는 다음 기준을 적용한다.

 

 

규격

시간당 손료

(10-7)

가  격

(천원)

H-500

5,523

20,000

 

    

 

2. 봉공처리제 도포

(㎡당)

 

구 분

단 위

수 량

도장공

0.028

보통인부

0.01

 

  [주] ① 본 품은 에폭시계 도로 페인트칠 시공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② 경관도장이 필요할 경우 도장공 0.028인, 보통인부 0.01인을 별도 계상한다.

 


5. 기  타

 ◦ 본건 신기술의 구체적 내용은 진흥원 홈페이지(http://www.kaia.re.kr)「지식/건설신기술현황」에 등록되어 있으니 필요한 경우에는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