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물현황
- 담당부서수자원정책과
- 담당자정원식
- 전화번호02-****-8408
- 등록일2012-08-09
- 조회107910
- 분류건설 > 수자원
- 첨부파일지구촌 물현황.hwp
지구의물부족량
- 지구에 있는 물의 양은 13억8천6백만㎦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중 바닷물이 97%인 13억5천1백만㎦이고 나머지 3%인 3천5백만㎦가 민물로 존재
총 3천5백만㎦인 민물중 약 69% 정도인 2천4백만㎦는 빙산, 빙하형태이고 약 30% 정도인 1천1백만㎦는 지하수이며 나머지 1% 미만인 1백만㎦가 민물호수나 강, 하천, 늪, 등의 지표수와 대기층에 있음
구 분 | 부 피(백만㎦) | 비 율(%) | 비 고 |
---|---|---|---|
총 량 | 1,386 | 100 | |
염 수 | 1,351 | 97.47 | 지하염수, 염수호수 포함 |
담 수 | 35 | 2.53 | 민물 중 상대적인 비율(%) |
-빙설(빙하, 빙산, 영구동토) | 24 | 1.76 | (69.57) |
-지하수 | 11 | 0.76 | (30.04) |
-호수 하천 등 | 0.1 | 0.01 | (0.39) |
빙설을 제외한 담수의 대륙별 분포비율
계 | 아시아주 | 북 미 | 아프리카 | 기타지역 |
---|---|---|---|---|
100% | 21% | 26% | 28% | 25% |
미래의 물 전망
- 미래의 물 전망에 대한 예측
- 물의 수요는 1950년~1990년 사이에 3배나 증가했고, 앞으로 35년 이내에 현재보다 2배나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직면한 물의 위기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려면 물 공급이 한계에 이르러 더 이상 늘 수 없는 곳, 물 공급을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곳, 강우량이 불안정적이거나 불충분한 곳,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곳, 상호 경쟁적인 물 사용처(농업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가 상충되고 있는 곳 등을 기준으로 봐야 한다.
- 미래의 물 전망에 대한 여러 가지 전망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국제인구행동연구소 (PAI :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 2003) |
오늘날 5억 5천만명이 물 압박국가나 물 기근국가에 살고 있고 2025년까지 24억명에서 34억명의 사람들이 물 압박 또는 물 부족국가에 살게 될 것임 |
---|---|
미국 NIC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 미 CIA 산하기구) |
2015년에는 세계인구의 절반이 넘는 30억명 이상이 물 부족국으로 분류 되는 나라에 살게 될 것임 |
세계기상기구(WMO) | 2025년 6억 5천 3백만명 내지 9억 4백만명이, 2050년에는 24억 3천만명이 물 부족을 겪을 것임 |
앤더슨 국제식량기구연구소 소장 |
앞으로 25년 이내에 5개국 중 한 나라가 심각한 물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임 |
산드라 포스텔 (Sandra Postel) World Watch Institute |
향후 30년에 걸쳐 지구상의 인구는 약 24억명이 더 늘어날 것임. 그런데 식량생산에 필요한 물의 40%만 강에서 가져온다 해도 농업용수가 매년 1천 750㎦씩 증가해야 하며, 이 양은 대략 20개의 나일강 또는 97개의 콜로라도강의 규모와 맞먹음 |
국제원자력연구소 (IAEA, 2002. 3.) |
현 추세로라면 2025년 약 27억명이 담수부족에 직면. 현재 약 11억명이 안전한 식수원에 접근하지 못하고, 25억명이 비위생적인 환경에 놓여 있으며, 500만명 이상이 수인성 질병으로 사망. 비위생적인 물로 인한 사망자는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의 10배에 달함 |
UN 요하네스버그 정상회담 (2002) |
2050년 세계인구는 90억명에 이를 전망. 11억명이 안전한 마실 물 부족에 직면할 것이며, 개발도상국 질병 원인의 10%는 안전한 식수 부족 또는 물 부족에 기인함 |
UN 세계 수자원개발 보고서 (2003.3.) |
지구의 1인당 담수공급량은 앞으로 20년 안에 1/3으로 줄어들고 2050년까지 적게는 48개국 20억명, 많게는 60개국 70억명이 물부족 겪을 것임. 2050년까지 인구는 93억명으로 늘고, 오염된 담수원 면적은 현재 관개용 수자원 면적의 9배에 달할 것 |
캐나다 회의 (캐나다시민단체) 마우드 발로(2004. 12) |
산유국이 카르텔을 형성, 석유자원을 무기화 했듯이 머지 않아 물이 풍부한 국가들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전망 |
세계경제포럼 수자원 이니셔티브 보고서 (2009. 1) |
‘수자원 부도(water bankruptcy)’가능성 경고. “이제는 1970년대 석유파동(oil shock)이 아니라 물파동(water shock)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 |
2030 Water Resources Group Charting Our Water future(2009) |
수자원시설 미확충시 2030년에는 물 수요의 60%만 충족가능을 경고 |
물 사용 가능량에 따른 국가별 분류
- 스웨덴의 물 전문가 폴켄마르크(Falkenmark)는 약간의 육식을 포함한 한사람의 영양섭취에 들어가는 1년분 식량생산에 약 1천 100㎥의 물이 필요하다는데 근거하여 "사용가능량이 연간 1인당 1천㎥ 이하이면 물 기근 국가로, 1천700㎥ 이하이면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국제인구행동 연구소(PAI)가 조사 분류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벨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 파키스탄 등과 함께 물 스트레스 국가에 속한다.
※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의 국민 1인당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을 기준으로 본 국가분류 - 물기근 국가(1,000㎥미만) : 만성적 물부족을 경험하며 그 결과 경제발전과 국민보건이 저해
- 물부족(압박) 국가(1,700㎥미만) : 주기적인 물압박을 경험
- 물풍요 국가(1,700㎥이상) : 지역적 또는 특수한 물문제만을 경험
세계 각국의 강수량
구 분 | 한 국 | 일 본 | 미 국 | 영 국 | 중 국 | 캐나다 | 세계평균 |
---|---|---|---|---|---|---|---|
연평균강수량(㎜) | 1,277 | 1,690 | 715 | 1,220 | 627 | 537 | 807 |
1인당강수량(㎥/년) | 2,629 | 4,993 | 22,741 | 4,907 | 4,530 | 164,595 | 16,427 |
- ※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7㎜로 세계 평균의 약 1.6배이지만,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강수량은 연간 2,629㎥로 세계평균의 16%에 불과하다.
[ 세계평균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강수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