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BRT

간선급행버스체계(BRT, Bus Rapid Transit)* 구축

전용주행로, 입체교차로, 정류소, 전용차량 등을 갖추어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

추진배경

대도시권 교통체증 완화 및 통행시간 단축 등을 위하여, 저비용·고효율* 대중교통 수단인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확대 구축할 필요

* 건설비는 지하철의 1/10 이하, 운영비는 1/7 이하로 가성비가 높은 교통수단

BRT 구성요소
  • 버스전용차로, 환승시설, 교차로에서의 버스우선통행, 버스정보 시스템(BIS),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 등으로 구성
  • 버스전용차로 이미지버스전용차로
  • BRT차량 이미지BRT차량
  • 버스사령실(BMS) 이미지버스사령실(BMS)
  • 수평 승하차 이미지수평 승하차
추진경위
  • 14. 04 : BRT 특별법 제정
    * (국비지원) 광역 BRT 50% / 도시 BRT 25%(수도권), 50%(비수도권)
  • ’16. 08 : 간선급행버스체계시설의 기술기준 고시
    *「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BRT체계의 시설기준을 정함
  • '18. 11 : 제1차 BRT 종합계획(‘18-’27) 수립
    * 「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하는 10년 단위의 법정계획
  • ‘19. 03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간선급행버스체계과 신설) 개청
  • ‘20. 01 : S-BRT 가이드라인 고시 및 시범사업*(5개소) 선정
    * 지하철 수준으로 향상시킨 최고급형 BRT를 도입하기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시범사업(인천 계양·대장, 창원, 인천, 성남, 세종)을 추진
  • '21. 11 : 제1차 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1-’30) 수립
    * 1차 종합계획 이후 나타난 교통여건 변화(3기 신도시, GTX 등)를 반영하기 위해 수정계획 마련
  • '23. 06 : 간선급행버스체계 우선신호 가이드라인 배포
    * 간선급행버스체계의 정시성·신속성 등을 유지하기 위해 우선신호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는 지자체 등이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배포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현황(‘25.6월 기준)
BRT 노선 현황(총괄)
구분, 합계(노선수(개수), 연장(Km)), 운영 단계(노선수(개수), 연장(Km)), 추진 단계(노선수(개수), 연장(Km)), 계획 단계(노선수(개수), 연장(Km))를 포함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현황(‘25.6월 기준) BRT 노선 현황(총괄) 목록
구분 합계 운영 단계 추진 단계 계획 단계
노선수(개소) 연장(Km) 노선수(개소) 연장(Km) 노선수(개소) 연장(Km) 노선수(개소) 연장(Km)
합계 82 1034.1 31 344.1 6 75.8 45 614.2
광역BRT* 28 542.0 4 114.5 3 38.4 21 389.1
도시BRT** 54 492.1 27 229.6 3 37.4 24 225.1

* (광역BRT) 2개 이상의 시·도간을 연걸 (도시BRT) 단일 도시 내 운영
** (국비지원) 광역BRT 50%, 도시 BRT 25%(수도권), 50%(비수도권)

운영단계 30개 노선
  • 광역BRT* 4개 노선 및 도시BRT* 26개 노선을 운영 중
BRT 노선 현황(운영단계)
구분, 합계, 수도권, 부산 · 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기타권역을 포함한 BRT 노선 현황(운영단계) 목록
구분 합계 수도권 부산 · 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기타권역
사업(계) 31 20 5 5 1
연장(계) 344.1 185.7 39.6 115.7 3.1
광역 BRT* 노선수(개소) 4 2 - - - 2 -
연장(km) 114.5 30.3 - - - 84.2 -
도시 BRT 노선수(개소) 27 18 5 - - 3 1
연장(km) 229.6 155.4 39.6 - - 31.5 3.1

* 수도권(경기 하남(창우동)∼서울 천호역, 인천 청라∼서울 강서(화곡)),
   대전권(반석역~오송역 세종BRT, 대전역∼오송역 대전BRT)
** 대전권 세종BRT와 대전BRT는 노선이 일부(22.3km) 중복 반영

추진단계 6개 사업
  • 광역BRT 2개소 및 도시BRT 3개소에서 사업 추진 중
BRT 노선 현황(추진단계)
노선명, 사업구간(연장), 연장(km), 사업기간, 비고를 포함한 BRT 노선 현황(추진단계) 목록
노선명 사업구간(연장) 연장(km) 사업기간 비고
6개 사업 75.8
수도권 성남 BRT 성남 남한산성 입구∼복정역(10.2km) 10.2 ‘22~’26 광역
1단계: 성남 모란역~남한산성(산성대로, 5.2km) 광역
2단계: 서울 복정역~성남 모란역(성남대로, 5.0km) 광역
강남송파 BRT ※ 국비미반영 사업(영동1교~복정역(헌릉로, 9.7km)) 9.7 ‘19~’25 광역
부산·울산권 창원 BRT 창원 육호광장~가음정사거리(18.0km)

※ 1단계 개통: 가음정사거리~도계광장(원이대로, 9.3km)
※ 2단계 계획중: 도계광장~육호광장(3.15대로, 8.7km)
- ‘20~’26 도시
대전권 공주∼세종 BRT 공주 종합터미널∼세종 6-2생활권(18.5km) 18.5 ‘22~’26 광역
세종~천안 BRT 1단계 세종시 대평차고지~홍익대 세종캠퍼스(20.35km)

※ BRT 정류장 설치사업(N=6개소)
※ 기존 세종 BRT 차로 공유(대평차고지~한별리교차로)
18.5 ‘22~’24 광역
광주권 광주 BRT 광주 백운광장~광주공고 BRT(8.67km)

※ 개발계획 추진중
- ‘25~’28 도시
기타권역 제주 BRT 동서구간(서광로,동광로, 도령로, 노형로 9km)
남북구간(중앙로 1.6km)

※ 서광로 개통 : 3.1km
7.5 ‘22~’26 도시
동광로 : 2.1km, 도령로 : 2.1km, 노형로 :1.7km,
중앙로 :1.6km
전주 기린대로 BRT 여의광장 교차로~오목대(9.5km) 9.5 ‘23~’26 도시
계획단계 45개 노선
  • BRT 노선 현황(계획단계)
  • (단위 : 개소)
구분, 합계, 수도권, 부산 ·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기타권역을 포함한 BRT 노선 현황(계획단계) 목록
구분 합계 수도권 부산 ·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기타권역
광역 21 16 2 3 - - -
도시 24 7 5 6 3 1 2
합계 45 23 7 9 3 1 2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21~’30)에서는 총 55개 노선을 반영하였으며, 이 중 4개 운영 중, 6개 추진 중으로 계획단계는 45개 노선

BRT 고급화(S-BRT) 추진
  • 전용차로·우선신호·사전요금지불·전용차량 운영 등을 통해 지하철 수준의 정시성·신속성을 가진 고급형 BRT인 S-BRT를 보급·확산
S-BRT 주요 요소
  • S-BRT 전용차로 이미지전용차로
  • 우선신호처리 안내 이미지우선 신호 처리
  • 첨단정류장 이미지첨단정류장
  • 전용차량 이미지전용차량
  • 계양-대장, 인천, 성남, 창원, 세종* S-BRT 5개 시범사업(’20.1. 선정)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신규 후보사업도 지속 발굴·추진
    * 세종 BRT는 旣구축 된 BRT를 S-BRT 수준으로 고급화
구분, S-BRT 시범사업(인천계양-부천대장, 인천 BRT, 성남 BRT, 창원 BRT, 세종 BRT)을 포함한 시범사업 목록
구분 S-BRT 시범사업
인천계양- 부천대장 인천 BRT 성남 BRT 창원 BRT 세종 BRT
사업구간 L=16.7km
(김포공항역-계양-대장-부천종합운동장)
L=9.4km
(인하대-루원시티교차로)
L=5.2km
(모란사거리-단대 오거리-남한산성)
L=9.3km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
L=22.9km
(세종BRT 고급화)
사업기간 ’19~’26 ’21~’26 ’21~’26 ’19~’24 ’17~’22
시행주체 LH 인천광역시 성남시 창원시 LH
기존 BRT와 S-BRT 사진대지
구분, 기존 BRT, S-BRT를 포함한 기존 BRT와 S-BRT 사진대지 목록
구분 기존 BRT S-BRT
교차로처리 교차로 정차 이미지교차로 정차
  • 교차로 입체화 이미지교차로 입체화
  • 우선신호처리 이미지우선신호처리
정류장 개방형 정류장 이미지개방형 정류장
  • 폐쇄형 정류장 이미지폐쇄형 정류장
  • 사전요금지불 이미지사전요금지불
차량 일반 차량 이미지일반 차량
  • 수소,전기차량 이미지수소·전기
  • 굴절버스 이미지굴절버스
수평승하차 수평승하차 불가 이미지수평승하차 불가
  • 수평승하차 이미지수평승하차 시설
  • 시설 저상형 차량 이미지저상형 차량
S-BRT 시범사업 노선도
  • 인천 계양·대장김포공항역~박촌역~부천종합운동장역, L=17.3km인천 계양, 대장SBRT 노선도
  • 창원창원시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 L=9.3km창원시 SBRT 노선도
  • 인천인하대∼서인천, L=9.4km인천 SBRT 노선도
  • 성남남한산성입구∼모란역사거리, L=5.2km성남 SBRT 노선도
  • 세종반곡동~세종터미널~한별리, L=22.9km세종 SBRT 노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