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보도자료

건설동행위원회,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 로드맵 발표

  • 안전문화 확산, 청년 소통·스마트화, 신뢰받는 일터 조성을 위한 10대 과제 마련

목록

  • 국토교통부의 최신 보도자료를 제공해드립니다.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는 이용자의 본인 확인을 위하여 휴대폰 본인 인증 및 아이핀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확인
  • 백* 현 2025-06-12
    ♣ 현 로드맵 문제 및 대안 (문제점) 1. ‘좋은 말 나열’ 수준에서 머무름 안전, 스마트, 청렴, 공정, 워라밸 등 이념적 슬로건 중심이며, 현장의 변화를 견인할 구체적 구조 개혁이나 법·제도적 장치가 부재 예: ‘스마트건설 챌린지’, ‘슬로건 공모전’ 등은 청년 유입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 2. 청년 관점의 깊이 있는 진단 부족 “청년은 건설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한 정확한 리서치와 통찰 없이 콘텐츠 제작, 행사 개최 등 전통적 방식만 제안. 유튜브, 공모전, 체험단 등의 접근은 이미 수년간 반복된 방식으로 실증적으로 효과 검증이 미흡 3. 기성세대 주도 프레임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위원 구성 대부분이 50~60대 이상의 산업계·학계 인사이며, MZ세대 당사자 참여 전무. 청년 ‘대상(Target)’이 아니라 청년 ‘참여자(Actor)’로 바라보는 전략이 빠져 있음 (대안) 1. ‘청년이 원하는 건설산업’에 대한 정량적 리서치 선행 건설산업 진입 저해 요인 (ex. 임금, 경력설계 불확실, 고된 근무환경 등)에 대해 MZ 대상 설문·포커스그룹 수행.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 우선순위 재편. 2. 청년 건설인 ‘성공 모델’ 발굴 및 확산 ‘청년 기능인→PM으로 성장한 사례’, ‘스타트업 창업자’ 등 현장 기반 성장 사례를 집중 홍보. 단순 유튜브가 아니라 리얼리티 기반 다큐멘터리 콘텐츠 제작 필요. 3. 건설 현장 근무조건의 실질적 개선 청년 유입을 위해선 기본급+성과급 체계 개편, 숙소·휴게시설 수준 상향, 현장 로테이션 기회 제공 등 구체적 제도 개혁 필요. 4. 스마트기술 기반 ‘신직무’ 확대 드론 운영, BIM 모델링, AI기반 시공관리 등 청년 친화적인 스마트 직무군을 신설하고, 자격체계 및 빠른 경력설계 로드맵 제공. 5. 정책 설계·실행에 청년을 공동기획자로 참여 ‘청년 건설정책위원회’ 같은 플랫폼 신설 → 정책 기획부터 실증까지 참여시켜 실질적 주체로 세움. 댓글삭제
  • 김* 훈 2025-06-15
    위 분 글에 100% 공감합니다 특히 3. 기성세대 주도 프레임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위원 구성 대부분이 50~60대 이상의 산업계·학계 인사이며, MZ세대 당사자 참여 전무. 건설에서 이룰대로 이룬 사람들이 이끄는 조직에서 어떤 변화와 개혁을 기대하겠습니까? 탈건을 꿈꾸는 젊은 건설인들에게 의견을 구하십시오 그들이 떠나지 않게, 건설이 무너지지 않게 하십시오 댓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