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2026년주거급여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5 - 506
 
2026년 주거급여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 제정고시안
 
1. 주거급여 선정기준
 
주거급여법5조제1항에 따라 주거급여 선정기준은 다음 값 이하로 한다.
 
구 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7인 가구
금액(/) 1,230,834 2,015,660 2,572,337 3,117,474 3,627,225 4,106,857 4,567,272
* 8인 가구는 7인 가구 기준과 6인 가구 기준의 차이를 7인 가구 기준에 더하여 산정(9인 가구 이상은 동일한 방식에 따라 산정)
 
2. 주거급여 최저보장수준
. 임차급여
주거급여법7조제3항 및 주거급여 실시에 관한 고시4조제1항에 따른 기준임대료는 다음과 같다.
 
(단위 : /)
구분 1급지(서울) 2급지(경기·인천) 3급지(광역·세종·수도권 외 특례시) 4급지(그외 지역)
1 369,000 300,000 247,000 212,000
2 414,000 335,000 275,000 238,000
3 492,000 401,000 327,000 283,000
4 571,000 463,000 381,000 329,000
5 591,000 479,000 394,000 340,000
6 699,000 568,000 463,000 402,000
* 가구원수가 7인의 경우 6인 기준임대료와 동일하고, 가구원수가 89인의 경우 6인 기준임대료의 10%를 가산 (10인 가구 이상은 동일한 방식(2인 증가 시 10% 인상)에 따라 적용)
. 수선유지급여
 
주거급여법8조제2항 및 주거급여 실시에 관한 고시4조제1항에 따른 보수범위별 수선비용(수선유지비의 지급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분 경보수 중보수 대보수
수선비용 590만원 1,095만원 1,601만원
수선주기 3 5 7
*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선정기준 이하인 경우 수선비용의 100%,
생계급여 선정기준 초과중위소득 40%이하인 경우 수선비용의 90%,
중위소득 40% 초과중위소득 48%이하인 경우 수선비용의 80% 지원

** 육로로 통행이 불가능한 도서지역(제주도 본섬 제외)의 경우, 위 수선비용을 10% 가산
 
부 칙
 
이 고시는 202611일부터 시행한다.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