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해양환경통합정보시스템
- 담당부서해양환경정책과
- 담당자김성재
- 전화번호02-504-6745
- 등록일2012-08-22
- 조회16949
- 분류 > 해양환경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 구축 개요
사업목적
- 각 기관별로 생산된 해양환경정보를 통합하고, 국가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관련정보의 관리와 대국민 서비스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함
- 국립수산과학원,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경찰청, 한국해양연구원 등에서 해양환경 관련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산ㆍ관리ㆍ제공
- 각 기관별로 생산된 해양환경정보를 통합하고, 국가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관련정보의 관리와 대국민 서비스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함
법적근거
- 해양환경관리법 제11조(해양환경정보망)제1항「국토해양부장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해양환경정보망을 구축하고 국민에게 해양환경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및 시행령 제6조(해양환경정보망의 구축ㆍ운영)
사업내용
- 사업기간/투자액 : 2006~계속 /‘09년까지 투자액 : 2,757백만원
- 연도별 구축내용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 연도별 구축내용 연도 구축 내용 예산
(백만원)2006 - 해양환경정보 통합관리체계 마련
- 해양환경정보의 현황분석 및 수요조사
- 해양환경통합정보 DB 표준(안) 마련 및 연계방식 설계
- 통합ㆍ연계DB 및 시스템 시범구축ㆍ운영750 2007 - 해양환경정보 추가 발굴ㆍ확대 구축
- 시스템 정보 검색기능 확대(주제별 자료, 통계자료별 등)
- Web/GIS 기반의 정보제공서비스 시범 구축704 2008 - Web/GIS 기반의 정보제공서비스 확대 구축
- 사용자 생산자료 정보게시 기능 서비스 구축
- 환경관리해역정보시스템 연계(DB, GIS 자료 등)
- 주제별 자료 및 통계분석자료 등의 실시간 데이터 마트 생성 등 정책의사결정 기능 확대
- 해양환경정보 추가 발굴ㆍ확대 구축 등668 2009 - 황해광역해양생태계(YSLME, 중국 청도) DB의 백업시스템 및 한ㆍ중 황해환경 공동조사(‘97~’08) DB 구축
* 전자해도(WGS-84) 기반으로 정보제공서비스를 구축
- 한국해양연구원 등의 해양환경관련 연구자료 DB 시범 구축
- 시스템 보안서버 및 인증시스템 구축
- 갯벌정보시스템 연계(DB, GIS자료 등)
- 구축 시스템 기능ㆍ성과 평가
- 기구축(‘06~’07) 시스템 유지보수 등635 2010 - 해양환경정보 DB 확대 구축(해파리 모니터링자료 통합 등)
- 환경관리해역정보시스템 통합
-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 홍보사이트 구축
- 해양환경정책 관련 법규 및 관련문헌 정보서비스 구축
- 해역이용협의 정보지원시스템 구축
-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 확대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507
기대효과
- 해양정보의 통합관리를 통한 정보의 활용도 제고
- 개별 해양환경 정보의 통합ㆍ표준화를 통한 ‘정보자료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및 자료의 일관성 유지
- 기관별 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자료의 정확도ㆍ신뢰성을 제고하고해양환경정보의 이용 및 확산을 촉진
- 해양정보의 통합관리를 통한 정보의 활용도 제고
홈페이지 주소
- www.meis.go.kr
'해양인프라' 관련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