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물 표본이 손상 없이 영구히 소장 및 보존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조건에는 일정한 온도, 습도, 공기의 질, 조도 등이 유지되어야 하고, 철저한 해충 방제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표본의 영구적 보존을 위한 수장고의 전반적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시설>
 ① 수장고는 1차 수장고(표본 정리 및 구분), 2차 수장고(종 동정 및 표본제작),
 주 수장고(분류학적 처리과정을 마친 표본), 기준표본수장고, 신종 모식 수장고
 등으로 구분되어야 합니다.
 
 ② 1차 수장고는 해수, 담수의 입수 및 배수시설과 보존액 폐기 시설이 갖추어져야
 하며, 또한 외부에서 차량으로 배송된 표본을 안정적으로 들여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2차 수장고는 각 연구실 내 또는 인근에 위치하여야 합니다.
 
 ③ 주 수장고는 분류군 특성에 맞게 공간을 나누어 설계되어야 표본 안정성 확보나
 관리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며, 각 공간(section)은 별도의 조절장치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④ 수장고의 각 소장실 벽면은 석고보드와 같은 간이시설로 설치하여서는 안되며
 콘크리트로 완전 격리되어야 한다. 한편 동일 층의 각 소장실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미닫이 식 철제문을 시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⑤ 각 표본실 출입문에는 현관식 격리 공간을 만들어 소장실 내부가 직접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⑥ 표본 소장 선반은 충격에 흔들리지 않게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표본 소장 시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견고한 바닥재를 사용하되, 미끌림 방지,
 화재 방지, 분진 방지 등의 기능을 갖추어야 합니다.
 
 ⑦ 수장고는 항온 및 항습이 유지되어야 하며, 모든 수장고에는 온도, 습도 변화
 감지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⑧ 수장고의 경우 항온 및 항습 시스템을 연중 가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소비를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건물 설계 시 반영되어야 하며, 별도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⑨ 건조표본을 보관하는 표본 소장시설 및 표본상자 등은 목재나 종이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철제 또는 플라스틱 제품이어야 한다.
 
 ⑩ 액침표본 소장실에는 타 소장실보다 용량이 큰 환기시설과 흄 후드(Fume
 Hood)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방수시설>
 ① 건물 바닥, 벽, 천장은 철저히 방수처리 되어야 하며, 누수 감지 시설과 누수
 차단 시설이 갖추어져야 합니다.
 
 ② 수장고의 천장 또는 벽면을 따라 수도관, 배수관, 냉ㆍ난방관, 고온 다습한
 공기통로 등이 지나가서는 안 됩니다.
 
 ③ 건물 주변의 배수 시설을 철저히 검증하여야 하며, 표본 저장소 부근에서
 상수도 또는 하수도 공사를 할 때는 반드시 그 안전성을 검증해야 합니다.
 
 
 <화재 방지시설>
 ① 수장고는 인접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로부터 완전히 차단되는 방화 시설과
 수장고를 포함한 모든 건물 공간에 철저한 화재 감지 시설 및 경보 장치를 설치
 하여야 합니다.
 
 ② 소방시설은 소화전을 사용하면 표본이 손상되므로 반드시 할론가스를 이용한
 소화시설을 갖추어야 합니다.
 
 ③ 수장고는 화학약품 보관시설로부터 격리되어야 하며, 알코올 액침표본 수장고
 는 독립된 층에 위치해야 합니다.
 
 ④ 모든 전선에서 누전 및 방전이 없어야 하고, 스위치는 방전이 차단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전압 과부하 시 2단계 이상의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⑤ 건물 설계 시 소방 전문가의 자문을, 준공 후에도 매년 소방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⑥ 수장동 바닥에는 출입문 이외에 급배수 시설이 설계되어 화재 발생 시 대량으로
 유입되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