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정책정보

충청권 항만별 현황 및 개발계획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담당자고진규
  • 전화번호
  • 등록일2010-11-23
  • 조회11790
  • 분류 > 항만건설

충청권

신항만
보령신항
  • 사업목적
    • 중부지역 물류거점 항만으로서 국토의 균형발전 도모
    • 향후 대중국 교역량 증대에 대비한 신항만 건설
  • 사업개요(‘01무역항 기본계획)
    • 사업기간 : 1992년 ~ 2011년
    • 사업규모 또는 총사업비 : 9선석 / 3,199억원
      ※ 2007년까지 추진실적 : 63억원 투입, 2.0%
    • 지원형태 / 조건 : 국고 100%
    • 사업시행주체 : 해양수산부(대산지방해양수산청장)
      ㆍ사업추진 배경 및 경위
      • ’88. 7.30 : 노태우 대통령 무창포어촌 방문시 지역숙원사업으로 건의한 사항으로 관심표명과 함께 개발방안 검토 지시
      • ’89. 6. : 충청남도 권역별 개발계획에 지역발전 전략사업으로 책정하고, ’90.3 보령군 종합개발계획에 역점사업으로 반영 추진
      • ’91.12. : 충청남도 보령군에서 항만개발에 대한 현지주민 설명회 개최(도내지역 국회의원, 충남도지사 지역단체장과 주민 등 2000여명 참석)
      • ‘91.12. : ’92예산 당정협의시 타당성조사 용역비 반영 요청
      • ’92. 1. : 항만개발 입지조사차 현지 답사(해운항만청)
      • ‘92.3~93.3 : 충청권 신항만개발사업 타당성조사용역 시행
      • ‘95. 4.17 : 전국항만기본계획 고시
        * 사업내용 : 안벽 8선석(‘92~2001, 762억원)
      • ‘97. 5. 9 : 신항만 예정지역지정 및 신항만건설기본계획 수립 확정
        * 사업내용 : 안벽 20선석(‘92~2011, 2,307억원)
      • ’97. 7.31 : 신항만건설 예정지역 고시(신항만건설촉진법 경과조치 규정 적용)
        * 사업내용 : 안벽 8선석(‘92~2001, 762억원)
      • ‘97.10.22~’98.12. : 보령신항건설 실시설계용역 추진
        * 사업내용 : 안벽 12선석(‘00~2011, 3,451억원)
        ·1단계(’00~’06) : 8선석(2,354억원)
        ·2단계(’07~’11) : 4선석(1,097억원)
      • ‘98.12.14 : 신항만개발사업 추진계획(투자우선순위) 조정 방안 수립
        * 보령신항·새만금신항 사업착수 유보(2007년 이후)
      • ‘01.12.15 : 전국무역항 항만기본계획 고시
        * 사업내용 : 안벽 9선석(‘07~2011, 3,199억원)
      • ‘06.12.27 :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수정계획 고시
        * 물동량 재추정결과 물동량이 없어 2020년이후 장기계획으로 반영(건설예정지역 조정)
      • ‘06.12.27 : ’07년도 예산(안) 반영(실시설계용역비 50억원)
      • ’07.3.~ : 타당성재조사 용역(기획예산처, KDI)
    • 년도별 예산 투입현황

      (단위:백만원)

      년도별 예산 투입현황
      구 분 예산액 사업내용 예산배정 결산내역 비 고
      1992 300 타당성조사 1식 300 290
      1997 3,000 실시설계 1식 2,519 1,914
      1998 3,477 어업권보상 1식 3,477 - 불용
      2007 5,000 실시설계 1식 - - 불용
      2008 1,000 기본설계 1식 수시배정
    • 일반사항

      1) 보령신항 개발사업 추진계획

      • - 보령신항은 ’97년 신항만 건설예정지역으로 지정되어 실시설계까지 완료하였으나 IMF 외환위기 당시 사업착수가 유보됨
        * 신항만개발사업 추진계획(투자우선순위) 조정 방안 수립 : ‘98.12.
      • - 이후 ‘00년과 ’05년에 실시한 물동량 추정 과정에서 사업 착수를 검토하였으나 오히려 예측물동량이 감소함에 따라 ‘06년 고시된 무역항 기본계획에서 장기계획으로 반영(건설예정지역 조정)
        * ’00년 및 ’05년 물동량 예측 결과(‘11년 기준) : 일반잡화 3,296천톤 → 0톤

      2) 문제점

      • - ’07년 예산(안) 편성시 국회 본회의(류근찬 의원)에서 보령신항 실시설계비(보완) 50억원을 반영하였으나 미집행
        - 장기간 사업유보로 총사업비가 확정되지 않았으며, 수요예측치도 시간 경과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 여건을 고려할 때 추가의 타당성 검증 없이는 예산집행이 곤란한 실정
        • 총사업비 관리지침(기획예산처)
          • 기본계획 수립, 타당성조사, 기본설계 또는 실시설계 과정 등에서 수요예측치가 이전 단계 대비 30/100 이상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 사업에 대하여는 예산처장관에게 타당성 재검증 시행을 요구하여야 한다.(제36조 제2항)

      3) 향후 추진계획

      • - 예산집행을 위한 사전절차로서 예산처와 총사업비 협의를 추진하되
          ㆍ협의과정에서 총사업비 관리지침에 의거 타당성 재조사후 그 결과를 토대로 실시설계(보완) 추진 여부 결정
          ㆍ’07.3.~ : 타당성재조사 용역(기획예산처, KDI)
      • - 계획평면도

        보령신항계획평면도

일반항
대산항
  • 현황
  • 대산항 현황
    위 치 충남 대천시 수면적 22,954천㎡
    자연조건 설계파고 설계파향 최고조위 평균해면 해저지질 : 이토질 모래
    2.30m SW 7.682m 3.841m
    시설현황 방파제 안벽 물양장 접안능력
    1,220m 1,180m -
    물동량시설수요(천톤) 구 분 2001 2006 2011
    ·총화물량
    ·시설소요
    ·하역능력 203 241 241
    ·시설확보율
    주요취급화물 수산물, 잡화
  • 사업계획
    • 사업목적 : 충남 중부일원의 어업전진기지로 개발 태안반도 일원 여객선 안전운항시설 확보
    • 사업효과 : 항내 정온수역 확보로 해상 안전사고 방지 하역능력 241천톤/년 제고
    • 연차별 투자계획(1989 ~ 2011)
  • (단위:백만원)

    연차별 투자계획
    사업명 총사업비 ’06까지 2007예산 2008예산 장 래
    합계 7,491 4,851
    1. 대천항 건설 48,439 48,439 - - -
    - 방파제(320m) 7,452 7,452 - - -
    - 물양장(355m) 10,933 10,933 - - -
    - 가호안(1,085m) 3,783 3,783 - - -
    - 부대시설 등 13,057 13,057 - - -
    - 준설(120천㎥) 5,300 5,300 - - -
    - 여객터미널(1동) 7,027 7,027 - - -
    - 부대비등 887 887 - - -
    2. 유 지 준 설 - -
    3. 유 지 보 수 7,491 4,851
태안항
  • 현황
  • 태안항 현황
    위 치 충남 태안군 태안읍 원북면 지선 수면적 8,245천㎡
    자연조건 설계파고 설계파향 최고조위 평균해면 해저지질 : 점토
    5.30m WNW 8,108m 4.054m
    시설현황 방파제 안벽 물양장 접안능력
    - - 287m 2선석
    물동량시설수요
    (천톤)
    구 분 1999 2001 2003 2004 2006 2011
    ·총화물량 5,278 6,126 8,416 9,361 8,670 10,473
    ·시설소요 5,231 6,098 8,377 9,305 8,622 10,433
    ·하역능력 5,483 5,491 11,539 11,563 10,886 10,886
    ·시설확보율 104.8% 90.1% 137.7% 124.3% 126.3% 104.3%
  • 사업계획
    • 사업목적 : 태안화력발전소에 따른 연료수송(유연탄) 지원항으로 개발
    • 사업효과 : 접안능력 15만톤급 1선석 증가(1 → 2선석) 하역능력 580만톤/년 증가(549→1,129만톤/년)
'항만현황' 관련 게시물

 

목록